‘읽히는 글’은 무엇이 다를까?
[작성자:] davidjkpark
다양하게 연합하며 프로젝트로 일하는 시대
‘회사’와 ‘개인’의 관계는 어떻게 변할 것인가?
지금 지적 생산력을 키우며 일하기
지속가능한 경제활동을 위해서는 ‘생산력’의 관점이 필요하다.
복싱에서 기획한 지적 생산자 프로그램
복싱에 ‘줄넘기’가 중요한 이유
생산자로 일하기 – 나의 일을 콘텐츠로
일의 ‘과정’을 콘텐츠로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나’를 위해 일한다 : 성장 마인드셋 – 지적 생산을 위한 코어 근육 키우기_3
최인아 책방의 최인아 대표가 기고한 ‘그래도 내 인생인데’라는 칼럼을 보면서 나의 과거를 돌아보게 되었다. 나는 어떻게 일했는가. 나의 시간은 어떻게 보내고 나는 어떻게 변화했는가. 그리고 나는 지금 어떤 상태인가. 생각하다 보니 성장 마인드셋이라는 키워드가 생각났다. 물론 그냥 번쩍 떠올랐다기보다 내가 항상 하고 있는 생각들 중 하나였기에 잘 연결이 되었겠지. 그래서 오늘은 내가 어떻게 일해왔고 지금에 이르게…
생산의 전제 : 입력 – 지적 생산을 위한 코어 근육 키우기_2
매일 글쓰기 2탄을 생각하다 보니 어제 쓴 지적 생산을 위한 코어 근육과 연관된 글감을 생각하게 되었다. 우연찮게 3가지 건강한 습관을 만들기는 했는데 그것이 왜 나에게 의미 있는 건강한 습관이 되었는지 체계적으로 생각하지는 못했다. 그러다 최근의 몇 가지 경험을 복기해보면서 건강한 습관이 단순한 습관이 아니라 나의 성장을 위한, 지적 생산을 위한 코어 근육이 될 수 있었는지…
건강한 습관 – 지적 생산을 위한 코어 근육 키우기_1
글은 쓸수록 는다. 내가 한참 글을 많이 썼을 때는 매일 한 개, 두 개씩 미친 듯이 쏟아내던 시기였다. 그 시기에는 시간이 흐르면서 나의 글도 느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최초의 글과 마지막의 글을 비교해보면. 콘텐츠를 생산하는 삶을 살기 위해, 성장하는 과정을 겪기 위해 다시 글을 쓰는 습관을 들이고자 30일 매일 글쓰기 챌린지를 시작한다. 첫 글을…
직장이 없는 시대가 온다면?
긱 이코노미는 어떻게 직장이 없는 시대를 만들까? 우리는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
돈이 내게 오는 세가지 길
‘돈을 많이 벌고 싶다!’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생각일 것 같습니다. 우리가 속한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돈이 많은 가능성과 기회를 부여하기 때문에 돈을 많이 벌고 싶어합니다. 물론 지속가능한 생존을 위해서도 돈은 필수적이죠. 그러나 왜 돈을 버는가를 끊임없이 되새기며 스스로를 경계하지 않는다면 돈에 종속될 확률이 높습니다. 오늘 나누고 싶은 이야기는 돈의 성격에 따라 어떻게 벌고 벌릴…
블록체인 시대를 준비하기 위한 아이디어
블록체인이 불러올 ‘경제 생태계의 선택권’, 무엇을 의미하는가?
사라진 ‘평생직장’, 나만의 스킬셋을 기르자
기술의 발달, 일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 등 여러가지 이유로 개인이 특정 직업에 종사하는 방식과 기간이 달라지고 있습니다. 이미 외국에서는 평생 직장은 사라지고 2-5년 정도 일한 후 이직하며 커리어를 관리하는 것이 일반화되어있고 극단적으로 아예 직장에 속하지 않고 스스로를 고용하는 ‘긱이코노미’ 현상도 크게 확산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과거와 같이 한 직장에서 평생 일하는 시대가 끝나고 한 사람이 평생…
긱이코노미 확산의 파도를 타려면?
나의 업을 통해 독립적인 경제활동을 하려면?